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덤프버전 : (♥ 0)

1. 개요
2. 진행방식
3. 예선
4. 본선
4.1. 32강전
4.1.1. 1조
4.1.2. 2조
4.1.3. 3조
4.1.4. 4조
4.1.5. 5조
4.1.6. 6조
4.1.7. 7조
4.1.8. 8조
4.2. 16강전
4.2.1. 1조
4.2.2. 2조
4.2.3. 3조
4.2.4. 4조
4.3. 8강전
4.3.1. 1조
4.3.2. 2조
4.4. 4강 ~ 결승
4.4.1. 4강전
4.4.2. 결승
5. 대회 결과



1. 개요[편집]


2022년 10월부터 열리는 한국기원 선수권전의 2기 대회. 후원사는 그대로이나 대회 타이틀 스폰서 네이밍이 '오육칠(5육七) 관절타이밍'으로 바뀌었다.[1]


2. 진행방식[편집]


이번 대회는 12강 2개조 풀리그 진행 후 각 조에서 오직 1위만 살아남고 2위 이하는 모두 광탈하는 방식이었던 우슬봉조배와는 달리 32명이 본선에 출전하며 대회 방식도 32강부터 4강까지 모든 라운드를 4인 1조로 편성해 각 조에서 1,2위 두 명이 다음 라운드로 진출하는 방식의 분리형 더블 엘리미네이션 토너먼트로 대회를 진행할 예정이다. 단일 조로 진행하는 4강전에서 1~2위를 한 선수가 결승 5번기로 겨뤄 우승자를 가린다. 또한 본선은 제한시간 각자 90분은 동일하게 유지되며 종전 40초 5회의 초읽기는 1분 초읽기 3회로 변경됐다.

3. 예선[편집]


예선은 2022년 10월 5일부터 7일까지 3일 동안 24개조 토너먼트로 랭킹과 관계없이 통합 예선으로 예선을 치른다. 시간은 제한시간 각자 1시간, 1분 초읽기 3회로 진행한다.(예선 대진표(모바일)/예선 대진표(PC))
2일차까지는 1조~12조는 오전조, 나머지조는 오후조로 배정되어있다.

  • 예선 1일차 한프바/수순 중계
중계대진결과
한프바10조(오전)이창호안성준157수 흑 불계승
15조(오후)김영삼허영호165수 흑 불계승
수순(오전)2조홍성지한상조335수 백 12집반승
8조오유진최철한164수 백 불계승
수순(오후)13조김승준한우진182수 백 불계승
16조박승화나 현148수 백 불계승

  • 미중계 대국 결과(대국별 앞 선수가 승리선수, 한프바 스트리밍 시간 내 기준)
오전조이연김영광오병우김기헌김현빈김남훈오승민이정원박민규김신영
기권승기권승기권승흑 불계승백 불계승
김성재정준우설현준송상훈이성재정유진박정수김세현김진휘최원용
백 불계승백 불계승백 불계승흑 불계승흑 불계승
김창훈김누리박영훈김민서장건현이승민조한승최병환안정기김민호
흑 불계승백 불계승백 불계승백 불계승흑 불계승
임진욱김승진선승민김다영이원도이승준안성준이창호안국현황진형
흑 4집반승백 불계승백 불계승흑 불계승백 불계승
오후조위태웅고재희최정차수권전영규서능욱Diana한상렬기민찬김철중
기권승기권승기권승기권승백 불계승
문민종고윤서박진솔김상인윤준상백성호김현빈장은빈김기원홍석민
흑 불계승흑 불계승흑 불계승흑 불계승흑 불계승
김종수오장욱김범서차주혜한웅규윤민중한태희김선기한상훈정두호
흑 1집반승흑 불계승백 불계승백 불계승백 불계승
양건김경은최기훈김희수
백 불계승백 불계승
  • 특이사항 : 6일에 지연대국이 진행되었는데 10시에 19조 강우혁-진시영, 11시에 3조 이원영-박재근, 14시에 20조 송규상-김정현 대국이 진행되었다.[2]

  • 예선 2일차(예선 준결승) 한프바/수순 중계[3]
중계대진결과
수순(오전)4조강승민최광호177수 흑 불계승
12조박영훈백찬희170수 백 불계승
수순(오후)13조김범서금지우295수 흑 불계승
21조최정김수진223수 흑 불계승

  • 미중계 대국 결과
오전조김윤태김효영박현수최은규한상조조승아김주형이나경
1조2조
임진욱백현우박정수이지현男
3조4조
이연송지훈김승재김세동김진휘허서현
5조6조
김성재조한승김원빈김동우최철한오병우안국현고미소
7조8조
선승민이유진설현준문명근오승민안성준이원도곽원근
9조10조
박지현이용수박민규박건호이성재안정기
11조12조
오후조권효진女한우진박종훈김강민유오성이슬주
13조14조
최기훈허영호정서준박진솔나현강유택김형우윤준상
15조16조
김창훈김종수한상훈허재원박신영Diana최민서최정관
17조18조
류민형문민종이재성김현빈
19조20조
김현찬한태희심재익윤현빈김유찬기민찬
21조22조
양건조완규한웅규위태웅전영규이형진주치홍원성진
23조24조
  • 특이사항(지연대국) : 당일 15시에 6조 최원진-최재영[4], 7일 10시로 예정되어있는 19조 진시영-박동주[5], 20조 김기원-김정현[6] 대국이 있다. 3조 장건현-이원영은 연기 표기만 되어있었다가 12일 11시 대국으로 확정되었다.[7]

  • 예선 3일차(예선 결승) 한프바/수순 중계[8]
중계대진결과
한프바13조 결승한우진금지우172수 백 불계승
수순4조 결승강승민이지현男129수 흑 불계승
5조 결승송지훈김세동188수 백 불계승

  • 미중계 대국 결과(지연대국 제외 확정, 조별 순 기재[9])
김윤태박현수한상조김주형최재영허서현조한승김원빈오병우안국현
1조2조
흑 불계승
6조
백 불계승
7조8조
흑 불계승
선승민설현준안성준이원도이용수박민규백찬희이성재박종훈유오성
9조
흑 불계승
10조11조
흑 불계승
12조
흑 2집반승
14조
허영호정서준강유택김형우김창훈한상훈박신영최정관김정현이재성
15조16조
기권승
17조18조20조
심재익기민찬조완규위태웅전영규주치홍
22조23조24조
  • 특이사항(지연대국) : 당일(7일) 대국 종료 시점 이후 진행되는 대국들이 있다. 날짜 순으로 11일 14시에 20조 김정현-이재성[10]과 21조 김현찬-최정 대국을 치른 뒤 13일에 19조 진시영-문민종, 3조 이원영-임진욱[11] 대국이 진행됐다.

  • 지연 대국 한프바/수순 중계
중계날짜대진결과
한프바10/1121조 결승최 정김현찬189수 흑 불계승

4. 본선[편집]


김윤태, 한상조, 이원영, 이지현(男), 송지훈, 최재영, 조한승, 오병우
설현준, 안성준, 박민규, 백찬희, 금지우, 박종훈, 정서준, 김형우
한상훈, 박신영, 문민종, 김정현, 최 정, 심재익, 위태웅, 전영규


  • 본선은 12월 10일 부터 오후 1시에 진행한다.(통상적으로는 토요일과 일요일에 대국이 열리며 일부 일정이 조정 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대국은 비방송 대국으로 진행한다 이 대국들은 수순 중계한다.)
  • 중계 : 바둑TV (캐스터 - 최유진, 문도원 三단 / 해설 - 최명훈 九단, 이성재 九단)[12]

4.1. 32강전[편집]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32강 조 편성
선수
1조신진서전영규한상훈심재익
2조변상일오병우최정송지훈
3조박정환박신영박종훈문민종
4조강동윤백찬희이지현최재영
5조신민준김윤태조한승김정현
6조박건호금지우이원영한상조
7조원성진김형우박민규이창호
8조설현준정서준안성준위태웅

  • 32강 조 편성은 2022년 10월 한국랭킹에 따라 배치했다.

4.1.1. 1조[편집]


1조 (신진서, 전영규, 한상훈, 심재익)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3일신진서전영규141수 흑 불계승
2경기2021년 1월 22일한상훈심재익176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3월 12일신진서심재익178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16일전영규한상훈276수 백 1집반승
부활전2023년 4월 8일심재익전영규154수 백 불계승
16강 진출신진서(2승), 전영규(2승 1패)
탈락한상훈(2패), 심재익(1승 2패)


4.1.2. 2조[편집]


2조 (변상일, 오병우, 최 정, 송지훈)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1일변상일오병우132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15일최 정송지훈203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3년 2월 27일변상일송지훈185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19일오병우최 정324수 백 1집반승
부활전2023년 4월 2일송지훈오병우223수 흑 불계승[13]
16강 진출변상일(2승), 송지훈(2승 1패)
탈락최 정(2패), 오병우(1승 2패)


4.1.3. 3조[편집]


3조 (박정환, 박신영, 박종훈, 문민종)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5일박정환박신영134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28일박종훈문민종299수 백 반집승[14]
승자전2023년 3월 18일박정환박종훈236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15일박신영문민종242수 백 불계승
부활전2023년 4월 15일박종훈문민종172수 백 불계승
16강 진출박정환(2승), 박종훈(2승 1패)
탈락박신영(2패), 문민종(1승 2패)


4.1.4. 4조[편집]


4조 (강동윤, 백찬희, 이지현, 최재영)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8일강동윤백찬희238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29일이지현최재영236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3월 25일강동윤이지현277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28일백찬희최재영192수 백 불계승
부활전2023년 5월 13일강동윤최재영177수 흑 불계승
16강 진출이지현(2승), 강동윤(2승 1패)
탈락백찬희(2패), 최재영(1승 2패)


4.1.5. 5조[편집]


5조 (신민준, 김윤태, 조한승, 김정현)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0일신민준김윤태134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21일조한승김정현217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3년 2월 28일신민준김정현221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15일김윤태조한승163수 흑 불계승
부활전2023년 3월 26일김정현조한승282수 흑 반집승
16강 진출신민준(2승), 조한승(2승 1패)
탈락김윤태(2패), 김정현(1승 2패)


4.1.6. 6조[편집]


6조 (박건호, 금지우, 이원영, 한상조)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7일박건호금지우107수 흑 불계승[15]
2경기2023년 1월 8일[A]이원영한상조287수 흑 불계승
승자전2023년 3월 11일박건호이원영245수 백 반집승
패자전2023년 3월 17일금지우한상조209수 흑 불계승
부활전2023년 4월 16일이원영한상조282수 백 불계승
16강 진출박건호(2승), 이원영(2승 1패)
탈락금지우(2패), 한상조(1승 2패)


4.1.7. 7조[편집]


7조 (원성진, 김형우, 박민규, 이창호)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14일원성진김형우150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7일[A]박민규이창호224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2월 19일원성진이창호156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28일김형우박민규204수 백 불계승
부활전2023년 4월 23일이창호김형우247수 흑 불계승
16강 진출원성진(2승), 이창호(2승 1패)
탈락박민규(2패), 김형우(1승 2패)


4.1.8. 8조[편집]


8조 (설현준, 정서준, 안성준, 위태웅)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2년 12월 31일설현준정서준177수 흑 불계승
2경기2023년 1월 14일안성준위태웅178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2월 13일설현준안성준164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3월 15일정서준위태웅244수 백 불계승
부활전2023년 4월 9일설현준위태웅169수 흑 불계승
16강 진출안성준2승), 설현준(2승 1패)
탈락정서준(2패), 위태웅(1승 2패)


4.2. 16강전[편집]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16강 조 편성
선수
1조신진서전영규박건호설현준
2조박정환이창호원성진이원영
3조변상일조한승안성준이지현
4조신민준박종훈강동윤송지훈


4.2.1. 1조[편집]


1조 (신진서, 전영규, 박건호, 설현준)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5월 20일박건호설현준242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7월 8일신진서전영규170수 백 불계승[16]
승자전2023년 9월 9일[17]박건호신진서180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7월 29일설현준전영규185수 흑 불계승
부활전2023년 9월 23일[18]박건호설현준179수 흑 불계승
8강 진출신진서(2승), 설현준(2승 1패)
탈락전영규(2패), 박건호(1승 2패)


4.2.2. 2조[편집]


2조 (박정환, 이창호, 원성진, 이원영)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5월 21일원성진이원영215수 흑 불계승
2경기2023년 7월 15일박정환이창호184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8월 27일이원영박정환192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7월 30일원성진이창호203수 흑 불계승
부활전2023년 9월 16일이원영원성진316수 백 1집반승
8강 진출박정환(2승), 이원영(2승 1패)
탈락이창호(2패), 원성진(1승 2패)


4.2.3. 3조[편집]


3조 (변상일, 조한승, 안성준, 이지현)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6월 24일안성준이지현147수 흑 불계승
2경기2023년 7월 2일변상일조한승변상일 기권승[19]
승자전2023년 8월 26일안성준변상일167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3년 7월 22일이지현조한승271수 흑 3집반승
부활전2023년 9월 10일안성준이지현227수 흑 불계승
8강 진출변상일(2승), 안성준(2승 1패)
탈락조한승(2패), 이지현(1승 2패)


4.2.4. 4조[편집]


4조 (신민준, 박종훈, 강동윤, 송지훈)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5월 27일강동윤송지훈220수 백 불계승
2경기2023년 6월 25일신민준박종훈216수 백 불계승
승자전2023년 7월 16일강동윤신민준159수 흑 불계승
패자전2023년 8월 5일송지훈박종훈173수 흑 불계승
부활전2023년 9월 17일신민준송지훈127수 흑 불계승
8강 진출강동윤(2승), 송지훈(2승 1패)
탈락박종훈(2패), 신민준(1승 2패)


4.3. 8강전[편집]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8강 조 편성
선수
1조신진서강동윤안성준송지훈
2조박정환변상일설현준이원영
  • 조 편성은 2023년 9월 한국랭킹에 따라 배치했다.

4.3.1. 1조[편집]


1조 (신진서, 강동윤, 안성준, 송지훈)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10월 5일강동윤안성준151수 흑 불계승
2경기2023년 10월 21일신진서송지훈200수 백 불계승[20]
승자전2023년 11월 7일안성준송지훈204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12월 23일강동윤신진서- 수 - 승
부활전안성준- 수 - 승
4강 진출송지훈(2승), - (2승 1패)
탈락- (2패), - (1승 2패)

  • 1조에서는 의외의 결과가 나왔는데 1조에 편성된 선수들 중 가장 랭킹이 낮았던 송지훈이 신진서를 패자전으로 내려보낸데 이어 승자조에서 안성준을 잡고 4강에 선착했다.

4.3.2. 2조[편집]


2조 (박정환, 변상일, 설현준, 이원영)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2023년 10월 13일박정환이원영171수 흑 불계승
2경기2023년 10월 22일변상일설현준159수 흑 불계승[21]
승자전2023년 10월 28일박정환설현준116수 백 불계승
패자전2023년 11월 8일[22]이원영변상일296수 백 3집반승
부활전2023년 11월 26일설현준변상일174수 백 불계승
4강 진출박정환(2승), 설현준(2승 1패)
탈락이원영(2패), 변상일(1승 2패)

  • 8강 2조에 편성된 선수 중 가장 최상위 렝커였던 전기 우슬봉조배 우승자 박정환은 무난하게 2승으로 4강에 진출했다.
  • 8강 2조에서도 예상하지 못한 결과가 나왔다. 바로 이 조의 상위 랭커 중 한명인 한국랭킹 3위 변상일의 탈락. 그것도 상대전적으로 앞서있던 설현준에게만 2패를 당하면서 떨어졌다.

4.4. 4강 ~ 결승[편집]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4강전 ~ 결승 대진표
4강 1R4강 2R4강 3R결승 5번기
|1경기| -
-
||<|2><:><height=60>
|승자전|<tablewidth=100%><width=5%> ➘ ||<#fff,#1f2023> - ||
-
||<|2><:><height=80> ➡ ||<|3>

-0
-0
||
|2경기| -
-
||
|패자전| ➘
-
-
||
|부활전|<tablewidth=100%><width=5%> ➘ ||<#fff,#1f2023> - ||
-
||


4.4.1. 4강전[편집]


4강전 (박정환, 송지훈, 설현준, - )
대국일정대진결과
1경기- 수 - 승
2경기- 수 - 승
승자전- 수 - 승
패자전- 수 - 승
부활전- 수 - 승
결승 진출- (2승), - (2승 1패)
탈락- (2패, 대회 4위), - (1승 2패, 대회 3위)


4.4.2. 결승[편집]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결승 5번기
미정00미정
대국일정
흑번
백번
결과
1국- 수 - 승
2국- 수 - 승
3국- 수 - 승
4국- 수 - 승
5국- 수 - 승
우승-
||



5. 대회 결과[편집]


순위선수
우승- (상금 5천만원)
준우승- (상금 2천만원)
3위-
4위-


파일:CC-white.svg 이 문서의 내용 중 전체 또는 일부는 2023-12-16 13:59:49에 나무위키 제2기 오육칠관절타이밍배 한국기원 선수권전 문서에서 가져왔습니다.


[1] 그런데 어느 한 유튜브 유저에 의해 "567 관절 중년배"라는 별칭 아닌 별칭이 생겼다.[2] 이원영의 백 불계승 을 제외하고는 상세결과가 등록되지 않았다.[3] 한프바는 이 날 "평소 대국장에 보이지 않던 바둑기사들"을 찾아가 토크하는 컨텐츠가 첫 선을 보였는데, 하필 중복 중계가 불가능해서 이 날에 한해 중계를 포기했었다. 따라서 차후에 결과가 확정되는 대로 조 순서대로 대진별 승리선수를 기재했다.[4] 백 불계승[5] 백 불계승[6] 백 불계승[7] 대국 결과는 백 불계승.[8] 오전 10시 대국으로 고정되어 있다.[9] 한프바 중계시간 내 한정 상세결과 기재[10] 백 불계승.[11] 백 불계승[12] 중계진은 지난 우슬봉조배와 동일하다.[13] 오병우가 반집 진 것을 알고 돌을 던졌다.[14] 사실상 문민종의 반집 승 분위기였으나 막판의 착각으로 한 집 손해를 보면서 흑 반집승이 백 반집승으로 뒤바뀌고 말았다.[15] 극초반부터 대마가 몰린 백의 연이은 실수를 흑이 정확히 응징하며 사실상 승부는 60수 남짓부터 갈렸다.[A] A B 이 경기는 계시원 없이 선수들이 직접 계시기 버튼을 누르는 방식으로 운영했다.[16] 여담으로 신진서는 승자 인터뷰에서 최근 안경을 바꿨다고 밝혔다.[17] 두 선수는 해당 경기가 있기 전에 제6기 한국 용성전 결승 3번기를 가졌는데 신진서가 2승으로 우승을 차지했다.[18] 이 대국이 16강전 마지막 일정이다.[19] 조한승 선수가 대국장에 도착하지 않아 기권패 처리됐다.[20] 신진서가 매우 우세한 바둑이었으나 하변에서 착각이 나와 바둑이 뒤집어졌고, 송지훈이 흑 대마를 잡는 결과로 이어지며 신진서를 패자전으로 내려보냈다.[21] 농심배 대표였던 두 선수의 맞대결에서 변상일이 중앙에서 착각으로 인해 바둑이 설현준쪽으로 기울어지며 설현준이 변상일을 패자조로 내려보냈다.[22] 원래는 오후 1시 대국이나 한국기원측에서 이원영 선수에게 대국 통지 문자를 보내지 않는 착오가 발생해 합의하에 오후 2시부터 대국을 진행했다.

관련 문서